게이트웨이의 개념과 이해
게이트웨이의 개념과 이해에 대해 알아본다. 1. 게이트웨이란 무엇인가? 게이트웨이(Gateway)란 통신에서 ...
blog.naver.com
1. ifconfig에서 나오는 eth0 inet 192.168.1.6
- PC의 IP 주소를 나타냅니다.
- 이 주소는 PC가 **라우터(DHCP 서버)**로부터 할당받거나, 수동으로 설정한 IP입니다.
- 예를 들어, 라우터의 네트워크 범위가 192.168.1.0/24라면, PC는 그 범위 안에서 유효한 IP 주소(예: 192.168.1.6)를 받게 됩니다.
2. 192.168.1.1 iptime에 접속해 설정하는 IP
- 이는 **라우터의 내부 IP 주소(게이트웨이 주소)**를 의미합니다.
- 이 IP는 네트워크의 중심으로, PC, 스마트폰, 프린터 등 모든 기기가 인터넷에 나가거나 서로 통신하기 위해 이 주소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합니다.
- 라우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하려면 이 주소를 사용합니다.
- 예: 브라우저에 http://192.168.1.1 입력 → 로그인 화면
두 IP의 관계:
- PC IP (192.168.1.6): 네트워크 내에서 PC를 식별하는 고유 주소입니다.
- 라우터의 게이트웨이 (192.168.1.1): 라우터 자체의 주소로, PC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어야만 정상 통신이 가능합니다.
- PC의 게이트웨이 설정에도 192.168.1.1이 입력되어야 라우터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(인터넷)로 나갈 수 있습니다.
예시:
- 네트워크 범위: 192.168.1.0/24
- 라우터 게이트웨이: 192.168.1.1
- PC IP: 192.168.1.6
- 게이트웨이: 192.168.1.1
이 설정이 맞아야 PC는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되고, 내부 네트워크 내 다른 기기와도 통신이 가능합니다.
결론:
- eth0 inet 192.168.1.6: PC의 IP 주소
- 192.168.1.1 iptime 설정: 라우터의 내부 IP(게이트웨이 주소)
'IT > 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asic] 0.0.0.0 / 127.0.0.1 차이 (0) | 2023.06.20 |
---|---|
[Basic] SIMD performance (0) | 2023.04.06 |
[Basic] Call by value, Call by reference 차이 (0) | 2023.02.28 |
[Basic] 런타임과 컴파일타임 차이 (0) | 2021.12.03 |
'undefined reference' with 'not declared' (0) | 2021.08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