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p 대신 rsync : 파일 복사 진행 상황을 보고 싶을 때. – 바깥 세상으로.. (As a kite by then)
www.nemonein.xyz
rsync -ah --info=progress2 <src> <dest>
-av 를 사용하기도 한다. 그러나, v 를 쓰면, progress2 가 의미를 잃고, 모든 파일을 하나씩 보여준다. 파일이 많을 경우 화면 스크롤이 주르륵~
만약 v 를 꼭 쓰고 싶다면, 파일명을 인위로 표시하지 않게끔 설정해줘야 한다.
rsync -avh --info=progress2,name0 <src> <dest>
복사할 파일 전체가 아닌, 파일 하나당 정보를 원할 수도 있다.
이걸 원했다면, 즉 파일당 진행 상황을 원한다면 progress1 을 주면 된다.
여기선 v 를 써도 되겠다.
rsync -ah --info=progress1 <src> <dest>
-h 는 Human Readable 로, 파일 크기를 KB/MB/GB 단위로 바꿔서 표시해준다.
-a 는 상당히 복잡한데, -rlptgoD 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.
-r : Recursive (하위 디렉토리 포함)
-l : symlink 는 symlink 로 취급 (원본이 심링크라면 복사본도 심링크)
-p : Preserve Permissions (파일 허가권 동일하게 보존)
-t : Preserve modification Times (파일 수정시간 동일하게 보존)
-g : Preserve Group (그룹명 보존)
-o : Preserve Owner (사용자명 보존)
-D : --devices --specials 와 같은데, 디바이스 파일, 스페셜 파일도 복사하라는 뜻이다.
특정 확장자 파일만 이동
rsync -av --include='*/' --include='*.jpg' --exclude='*' <SOURCE_DIR>/ <DEST_DIR>/
- --include='*/' : 디렉토리들은 유지
- --include='*.jpg' : .jpg 파일만 포함
- --exclude='*' : 나머지는 모두 무시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(0) | 2023.02.22 |
---|---|
[Linux] 하위 폴더 용량 확인 du(disk usage) (0) | 2023.02.22 |
[Linux] 프로세스 확인 & 죽이기 ps . kill 명령어 (0) | 2023.01.20 |
[Linux] command terminal 단축키 (0) | 2023.01.20 |
[Linux] cat << EOF > a.txt (0) | 2023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