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/Git

[Git] git stash

커밋하지 않고 변경사항 저장하는 방법

 

 

git stash pop: apply와 drop 명령어의 조합

이번에는 git stash pop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. git stash pop을 인자 없이 실행하면 인덱스가 stash@{0}인 변경사항(가장 최근에 stash된 내용)에 대해 다음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합니다.

 

stash@{0}을 꺼내온다. (apply)

stash@{0}을 삭제한다. (drop)

 

 

 

git stash 사용법: 커밋하지 않고 변경사항 저장하는 방법

git stash 명령어으로 Git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임시로 스택에 쌓아둘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stash를 사용해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다시 꺼내오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.

www.lainyzine.com

 

'I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tracked untracked unmodified modified staged  (0) 2023.02.10
[Git] 병합 취소하기  (0) 2023.01.20
[Git] push/pull 자동 로그인  (0) 2023.01.20
[Git] git 명령 취소 방법  (0) 2023.01.20
[Git] Git clone --depth=1  (0) 2021.10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