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FS에서 백트랙킹하는 부분을 잘 생각해야 되는데 매번 고려하지 않아서 생각이상의 시간이 걸린다.
- 4방향을 모두 확인하면서 간다면 한 방향을 확인하고 그 방향으로는 더 이상 가면 안된다. 따라서 4방향을 모두 확인한 후에 false로 바꿔줘야 한다.
- row, col으로 하는게 안헷갈린다. x,y로 했다가 완전히 뒤죽 박죽이 되어있었다.
시간 초과가 뜨는 풀이이긴 하지만 DFS백트랙킹 잘 알아둬야 겠다.
#include <iostream>
#define MAX 100
using namespace std;
int N, M, next_col, next_row, res = INT32_MAX;
string MAP[MAX];
bool visit[MAX][MAX];
int d_row[4] = {-1, 0, 1, 0};
int d_col[4] = {0, 1, 0, -1};
bool possible(int row, int col){
return ( col >= 0 && col < M ) && ( row >= 0 && row < N );
}
void input(){
cin >> M >> N;
for(int i = 0 ; i < N; i++)
cin >> MAP[i];
}
void dfs(int row, int col, int cnt){
//cout << row << " " << col << " " << MAP[row][col] << " " << cnt << endl;
visit[row][col] = true;
if(col == M - 1 && row == N - 1){
res = min(cnt, res);
visit[row][col] = false;
return;
}
for(int i =0 ;i < 4; i++){
next_col = col + d_col[i];
next_row = row + d_row[i];
if(possible(next_row, next_col) && !visit[next_row][next_col]){
//visit[next_row][next_col] = true;
if(MAP[next_row][next_col] == '1')
dfs(next_row, next_col, cnt + 1);
else
dfs(next_row, next_col, cnt);
//visit[next_row][next_col] = false;
}
}
visit[row][col] = false;
}
int main() {
input();
//visit[0][0] = true;
dfs(0,0,0);
std::cout << res << std::endl;
return 0;
}
deque로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.
- 최소의 벽을 부시고 목적지까지 가는것이 목표이기때문에 우선은 이동이 가능하다면 목적지에 가깝게 최대한 이동해야한다. 즉, 우선순위가 이동가능한 칸(0)을 가는 것이 높게된다.
- 이 문제는 단순한 BFS를 요구하는 문제가 아니다. 왜냐하면 BFS는 모든 간선의 가중치가 동일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.
-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.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
- BFS 가중치가 0(우선순위가 높은)인 간선에 연결된 정점은 큐의 맨 뒤가 아닌 맨 앞에 넣는 방법
- 보통 이 문제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푸는게 정석인거 같지만, 우선 이번 글에서는 deque를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구분해 푸는 두번째 방법으로 풀어보겠다.
- 미로의 크기 및 미로 정보를 입력받는다.
- 시작점 1,1에서부터 상하좌우로 탐색을 진행하며 deque를 이용하여 조건 1(맵을 벗어나지 않고, 갈 수있는 길(=0)이고, 방문하지 않았다면)이라면 deque의 맨앞에 삽입하고, 조건2(맵을 벗어나지 않고, 갈 수없는 길(=1)이고, 방문하지 않았다면)이라면 deque의 맨 뒤에 삽입한다.
- deque의 앞에서부터 빼서 사용하므로 우선순위는 조건1 > 조건2가 된다.
- 조건1일때는 visited 함수의 값은 default 값인 1로 유지가 되며, 조건2일때는 벽을 부시는 것이므로 +1씩 증가하게 된다.
- 목적지 (N,M)에 도착할때까지 탐색을 이어나가고 도착한다면 bfs 함수에서 반환된 visited[N][M] - 1을 출력한다.
<iostream>
#include <deque>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cstring> // memset
using namespace std;
#define MAX 100
struct component {
int y, x;
};
// 우,하,좌,상
int dx[4] = { 1, 0, -1, 0 };
int dy[4] = { 0, 1, 0, -1 };
int M, N;
bool graph[MAX+1][MAX+1];
int visited[MAX+1][MAX+1];
bool is_inside(int ny, int nx){
return (ny >= 1 && ny <= N && nx >= 1 && nx <= M);
}
int bfs() {
deque<component> dq;
dq.push_back({ 1, 1 });
visited[1][1] = 1;
while (!dq.empty()) {
int y = dq.front().y;
int x = dq.front().x;
dq.pop_front();
if (y == N && x == M) return visited[N][M] - 1;
for (int i = 0; i < 4; i++) {
int ny = y + dy[i];
int nx = x + dx[i];
// 맵을 벗어나지 않고, 갈 수있는 길이고, 방문하지 않았다면
if (is_inside(ny,nx) && graph[ny][nx] == 0 && visited[ny][nx] == 0) {
dq.push_front({ ny,nx });
visited[ny][nx] = visited[y][x];
}
// 맵을 벗어나지 않고, 갈 수없는 길이고, 방문하지 않았다면
if (is_inside(ny, nx) && graph[ny][nx] == 1 && visited[ny][nx] == 0) {
dq.push_back({ ny,nx });
visited[ny][nx] = visited[y][x] + 1;
}
}
}
}
int main() {
/* 미로의 크기 및 미로 정보 입력*/
scanf("%d %d", &M, &N);
for (int i = 1; i <= N; i++) {
for (int j = 1; j <= M; j++) {
scanf("%1d", &graph[i][j]);
}
}
/* BFS 탐색 및 결과 출력 */
printf("%d\n", bfs());
return 0;
[백준 1261, c++] 알고스팟(bfs,deque)
문제 번호 1261(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61) 문제 및 입/출력 알고스팟 운영진이 모두 미로에 갇혔다. 미로는 N*M 크기이며, 총 1*1크기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. 미로는 빈 방 또는 벽으로 이루어
jdselectron.tistory.com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] 1058 친구 (0) | 2021.06.10 |
---|---|
[BOJ] 1535 안녕 (0) | 2021.05.24 |
[BOJ] 1182 부분수열의 합 (0) | 2021.05.15 |
[BOJ] 6603 로또 (0) | 2021.05.15 |
[BOJ] 11057 오르막 수 (0) | 2021.05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