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음에는 Jenkins 를 단독으로 설치하려고 하였으나, 이참에 Docker 를 이용해서 자동화된 테스트까지 돌리고 싶어서, Docker 위에 Jenkins 를 설치하기로 마음 먹었다.
Docker
Docker 는 환경의 구성을 Image 로 만들어 두고 이를 Container 를 이용해 항상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주는 Platform 이다.
여기서 Image 는 세팅 환경이고, Container 는 실행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.
Image 로 Jenkins 를 세팅하고, Container 에서 Jenkins 를 구동한다.
Docker 를 이용해 Jenkins 를 세팅하게 되면, Docker 내부의 Docker 를 만들어서 일정한 테스트 환경을 유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.
AWS CLI
AWS CLI 는 AWS 에서 제공하는 API 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이다.
Jenkins 에서 build 한 파일들을 AWS 환경에 배포하는 용으로 사용 할 수 있다.
진행과정
아래 과정을 거치며, Jenkins 를 세팅하였다.
하지만 아래 과정까지 많은 삽질과 구글링이 있었다.
- Docker 설치
- Jenkins image 확인
- Dockerfile 에 AWS CLI 세팅
- Docker-compose 세팅
- AWS CLI 설정파일 적용
- Jenkins 실행 및 plugin 설치
Jenkins 와 Docker 그리고 AWS CLI 삽질기 정리하기
최근에 Jenkins 서버를 분리할 일이 생겼는데, Jenkins 를 다시 설정 하면서 배웠던 삽집기를 정리 해보고자 한다.
pks2974.medium.com
'IT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스프링, 스프링 프레임워크(Spring Framework) (0) | 2021.01.07 |
---|---|
OSI 7계층 > [LAYER 4] 전송 계층 > PORT (0) | 2021.01.07 |
backend 이해하기 (0) | 2020.12.28 |
[Jenkins] CI ( Continuous Integration ) / CD ( Continuous Delivery ) (0) | 2020.12.28 |
[Jenkins] 젠킨스 설치 및 구동 (0) | 2020.12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