▶ git reset
- 과거 커밋으로 돌아가고 싶을때 사용한다.
- 문법 : git reset [옵션] [커밋id]
옵션 / 영역 ex) git reset [옵션] abcd(커밋) |
working directory | staging area | repository |
--soft | 바뀌지 않음 | 바뀌지 않음 | Head가 abcd(커밋)를 가리킴 |
--mixed | 바뀌지 않음 | abcd(커밋)내용으로 변경 | Head가 abcd(커밋)를 가리킴 |
--hard | abcd(커밋)내용으로 변경 | abcd(커밋)내용으로 변경 | Head가 abcd(커밋)를 가리킴 |
1) git reset
- 직전의 add 이전의 상태로 staging area를 되돌린다.
2) git reset --soft HEAD^
- HEAD^는 현재 HEAD가 가리키고 있는 커밋의 바로 이전 커밋을 뜻한다.
- HEAD~2 와 같이 ^대신 숫자가 올 수 있는데, 2와 같은 경우는 커밋보다 2단계 전의 커밋을 뜻한다.
3) git reset --hard 커밋ID
- 특정 과거 커밋시점으로 working directory를 원복 한다.
[Git (2)] Git 명령어, 저장소 만들기(init) 및 커밋 하기(add / commit)
[Git (2)] Git 명령어, 저장소 만들기(init) 및 커밋 하기(add / commit) 안녕하세요. 갓대희 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 [ Git 명령어 간단 정리 및 저장소 생성 및 커밋 하기 (Init, add, commit) ] 입니다. : )..
goddaehee.tistory.com
▶ git reset 도식화
Git - Reset 명확히 알고 가기
지금까지 reset 명령을 실행하는 기본 형태와 사용 방법을 살펴봤다. reset 명령을 실행할 때 경로를 지정하면 1단계를 건너뛰고 정해진 경로의 파일에만 나머지 reset 단계를 적용한다. 이는 당연한
git-scm.com
'I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mote repository (0) | 2020.09.15 |
---|---|
[Git] gitignore (0) | 2020.09.15 |
git status (0) | 2020.09.15 |
git 기초용어 (0) | 2020.09.15 |
git repository 생성후 (0) | 2020.09.15 |